농촌진흥청은 농가에 큰 피해를 주는 딸기 세균모무늬병 방제를 위해 생육 초기인 10월에 철저히 관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병의 원인균은 토양 내 병든 식물체에서 살며, 병에 걸리면 초기에는 잎 뒷면에 작은 반점이 생긴다. 병이 진행되면 잎 앞쪽에 검은색과 붉은색의 마름 증상이 나타나며 꽃봉오리와 잎자루, 줄기도 갈색과 붉은색으로 변한다.
피해를 줄이기 위해 생육 초기인 10월 과원을 주의 깊게 살피고, 병이 발생하면 병에 걸린 식물체를 제거한다.
특히 물을 대는 중 세균 누출액이 잎 뒷면의 숨구멍을 통해 정상 식물체로 확산하므로 철저히 살펴봐야 한다.
또한, 온실 내 환기를 철저히 해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증상을 보이는 잎과 가지 등은 발견 즉시 땅에 묻거나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지정폐기물 처리 장소에서 소각한다.
병이 발생한 농가 재배지에서는 식물의 외부 유출을 금지하고, 방제 약제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 및 농사로(www.nongsaro.go.kr)에서 등록여부 및 안전사용기준을 확인한 뒤 처리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김현란 과장은 “딸기 세균모무늬병은 딸기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협해 농가에 피해를 준다.”라며, “생육 초기에 감염원 발생을 철저히 살펴보고, 병이 발생하면 즉시 제거해 피해를 줄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딸기 관련기사목록
|
영농기술 많이 본 기사
|